본문 바로가기

그림을보다

겸재 정선展 [간송 미술관]

정선 [, 1676~1759]
조선 후기의 화가. 처음에는 중국 남화()에서 출발하였으나 30세를 전후하여 조선 산수화()의 독자적 특징을 살린 사생()의 진경화()로 전환하였으며 여행을 즐겨 전국의 명승을 찾아 다니면서 그림을 그렸다. 심사정·조영석과 함께 삼재()로 불리었다. 강한 농담()의 대조 위에 청색을 주조로 하여 암벽의 면과 질감을 나타낸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으나 후계자가 없어 그의 화풍은 단절되었다.

본관 광주(). 자 원백(). 호 겸재()·난곡(). 약관에 김창집()의 천거로 도화서의 화원()이 되고 그 뒤 현감을 지냈다. 처음에는 중국 남화()에서 출발하였으나 30세를 전후하여 조선 산수화()의 독자적 특징을 살린 사생()의 진경화()로 전환하였으며 여행을 즐겨 전국의 명승을 찾아다니면서 그림을 그렸다.

심사정(조영석(祏)과 함께 삼재()로 불리었다. 강한 농담()의 대조 위에 청색을 주조로 하여 암벽의 면과 질감을 나타낸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으나 후계자가 없어 그의 화풍은 단절되었다. 문재()가 없었으므로 다만 서명과 한두 개의 낙관만이 화폭의 구석에 있을 뿐 화제()가 없다.

저서에 《도설경해()》가 있고 그림 작품으로는 《입암도()》 《여산초당도()》 《여산폭포도()》 《노송영지()》 등이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펌>
                                                                                                                                                                                                        



오매불망 가고팠던 간송미술관 나들이.
겸재 정선 250주년 기념으로 15일간의 개관을 때마침 알게되었다. 간송미술관에 대한 기대가 많았는지 막상 가본 곳은 뭐랄까...음....

전시를 보면서 어찌하여 미술품을 액자에 넣지않고 보관을 하는거냐, 복원은 또 왜 이러냐..뭐, 이러면서 구시렁, 저러면서 구시렁...결국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거기 계신 분께 물었다.
여즉 단편적으로 유화의 액자만 생각해서 왜 액자에 넣지 않았냐는 질문에 성실한 답변을 주셨다.

서양의 유화와 동양의 수묵화는 재료 자체가 달라서 보관방법도 다른법인것을...-_-;;



성북동 소재 간송미술관


사랑이 넘치는 마님


돌담을 뚫고 피어나는 중.


미술관 들어가는 길목에 공작새가 날개를 폈다. 그러나 폰카 찍으려던 아주머니가 핸드폰을 떨어트리는
소리에 놀라서 바로 날개를 접더라구. 그 아줌마 심하게 민망해 하셨음.


왜 여기 미술관은 일년에 딱 2번만 개관하나요? 진짜로 궁금.


겸재 정선 250주년 기념 전시였음.


임신 7개월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쁜 나의 언니. 7개월된 임산부가 53키로란다..-_-


보너스

대한민국 아줌마란!!!!
햇빛이 뜨거울 땐 버스안에서도 양산을!!!

버스는 만원이었고, 나는 하필 창가에 앉아 있었고, 버스에는 엄지손만한 왕벌이 타고 있었고, 왕벌이 내 주변에서 날라 다녔고, 쏘일까봐 심장이 터질뻔했고, 모르는 청소년에게 아줌마처럼 "학생" 하고 불렀고, 그러다가 우연히 앞을 봤는데 아줌마가 양산을 쓰고 있었다. 

집에와서 냉장고 청소를 했고, 묵은 쌀로 가래떡을 뽑았고, 꼬들꼬들하게 말려서 가지런히 냉동실에 넣었고, 일부는 썰었고, 그 덕에 손이 무척 아팠다.



떡은 자그마치 이만큼이나
묵은 쌀 한말은 혼자서는 도저히 감당못할 만큼의 가래떡을 만들어 주었다.
어쩌면 쌀 한말 만큼의 행복만 있어도 충분히 행복할 수 있을거 같다.
가마니의 행복만 바라서 작은 행복을 보지 못하고 있는건 아닐까?









 
아이스 카페모카, 도너츠. 화요일 오후의 한 때.  일상은 변하지 않았다.
PL10 / by mimic